티스토리 뷰
목차
월급 빼고 모든 것이 인상되고 있는 요즘, IMF때보다 더 살기 힘들다는 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인상이 되었지만 인상률은 2021년 1.5%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1.7%로 인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2022년 이후로 인상률이 계속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근로자들이 힘들다고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5년도 본인의 연봉별로 공제금액과 실수령액은 간단한 계산기를 통해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 임금제란
근로자의 생존권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소한의 인간적인 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급료를 근로자에게 지급" 하기 위해서 사업주들에게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입니다. 대한민국은 헌법에 최저임금에 대해 명시하고 있고 25년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최초로 만원을 넘었습니다.
25년 최저 시급과 월급
2025년 최저 시급은 시간당 10,030 원 입니다. 최저 월급은 최저 시급 기준으로 일 8시간 주 5일 근무를 한다면 2.096,270원이며 연봉으로는 연 2500만 원 정도이며 시급 인상률은 1.7%입니다.
년도 | 최저시급 | 일급(8시간근무기준) | 월급 | 인상률(인상액) |
25년 | 10,030 | 80,240 | 2,096,270 | 1.7%(170원) |
24년 | 9,860 | 78,880 | 2,060,740 | 2.5%(240원) |
23년 | 9,620 | 76,690 | 2,010,580 | 5.0%(460원) |
25년 최저 월급 실수령액
최저 월급 2,096,270원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면 1,874,490원입니다. 24년도 최저임금 기준으로 보면 약 31,11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공제금액총액
최저월급 | 공제금액 | 실수령액 |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고용보험 | 소득세 | 지방세 | ||
2,096,270원 | 94,330원 | 83,930원 | 18,860원 | 22,420원 | 2,240원 | 1,874,490원 |
최저월급 실수령액
년도 | 최저 월급 | 실수령액 | 실수령액 인상금액 |
2024년 | 2,060,740 원 | 1,843,380 원 | |
2025년 | 2,096,270 원 | 1,874,490 원 | + 31,110원 |
연봉별 실 수령액
연봉별 실수령액은 최저월급기준(약 2500만 원)부터 1억까지 계산해 보았습니다. 실수령액은 세전 월급에서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소득세와 지방세 등을 공제하게 됩니다.
실수령액은 월급에서 비과세와 부양가족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계산은 네이버나 잡코리아등에서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한다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봉 | 공제(4대보험) | 세전 월급 | 실 수령액(세후 월급) |
2500만원 | 220,100 | 2,083,333 | 1,863,233 |
3000만원 | 274,130 | 2,500,000 | 2,225,870 |
4000만원 | 429,020 | 3,333,333 | 2,904,313 |
5000만원 | 630,670 | 4,166,667 | 3,535,997 |
6000만원 | 838,960 | 5,000,000 | 4,161,040 |
1억 | 1,821,180 | 8,333,333 | 6,512,153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준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 소득기준 (0) | 2025.02.13 |
---|---|
혼인관계증명서 상세 인터넷 발급방법 (0) | 2025.02.10 |
2025년 교사봉급표와 수당 (0) | 2025.02.04 |
2025년 홈택스 월세 세액공제 신청방법 (0) | 2025.02.02 |
25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방법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