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암 진단은 그 자체로 큰 충격이지만, 진단 이후 마주하는 막대한 치료비는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또 다른 고통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정부는 암환자들이 끝까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암환자 의료비 지원제도를 통해 실질적인 경제적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소아암 환자는 최대 연 3,000만 원, 성인 암환자 역시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수술항암치료조혈모세포이식 등 폭넓은 치료 항목에 적용됩니다.
오늘은 암환자 의료비 지원 대상과 자격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변에 소아암이나 성인암환자가 있으시다면 꼭 확인하고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소아암환자 의료비 지원 (백혈병 포함)
✔ 지원 대상
만 18세 미만의 소아암 환자 중
- 의료급여 수급자
-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
- 건강보험 가입자 중 소득 및 재산 기준 충족자
✔ 2025년 소득 기준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7인 | 8인 |
2,870,416 | 4,719,190 | 6,030,424 | 7,317,328 | 8,529,830 | 9,677,766 | 10,786,114 | 11,894,461 |
✔ 2025년 재산 기준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7인 | 8인 |
365,834,906 | 410,170,014 | 441,614,475 | 472,475,482 | 501,552,288 | 529,080,179 | 555,659,799 | 582,238,878 |
✔ 지원 내용
- 백혈병: 연간 최대 3,000만 원
- 그 외 암종: 연간 최대 2,000만 원
- 단, 백혈병 외 암중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는 경우에는 최대 3,000만 원 지원
- ※2개 이상의 암을 동시에 갖더라도 연간 상한 금액 내에서 지원
- ※ 단 재난적 의료비 지원 등 다른 국가 지원금으로 의료비를 지원받은 경우 중복 지원은 불가
✔ 지원 기간
- 최대 만 18세가 되는 해의 12월 31일까지 지원
✔ 지원 범위
- 암 진단 과정에서 소요된 검사(진단) 관련 의료비
- 암 진단일(최종진단) 이후의 암 치료비
- 암 치료로 인한 합병증 관련 의료비
- 전이된 암, 재발암 치료비
- 의료비 관련 약제비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18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권자
✔ 지원 대상 : 의료급여 수급권자 및 차상위 본인부담경감자 중 만 18세 이상 전체 암환자
✔ 지원 암종 : 악성신생물(C00~C97), 제자리암종(D00~D09), 기타 암종(D37~D48)중 일부
✔ 지원 금액 : 본인 부담금 연간 최대 300만원(급여,비급여 본인부담금 구분 없이)까지 지원
✔ 지원 기간 : 개시연도부터 최대 3년간 지원(자격유지 시)
폐암환자
✔ 지원 대상 :만 18세 이상의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원발성 폐암(C33~34) 환자 (차상위 포함)
✔ 만 18세 이상의 건강보험 가입자 중 2021년 6월 30일까지 폐암으로 진단받은 분 중 해당 연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충족한 경우
- 2024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125,000원 이하, 지역가입자 67,500원 이하
- 2025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127,500원 이하, 지역가입자 57,000원 이하
✔ 지원 금액
- 건강보험 가입자 : 급여 본인일부부담금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
- 의료급여 수급권자 : 본인부담금 연간 최대 300만 원(급여, 비급여 본인부담금 구분 없이 )까지 지원
✔ 지원 기간 : 개시연도부터 최대 3년간 지원( 매년 건강보험료 적합 또는 자격유지 시)
- 2024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125,000원 이하, 지역가입자 67,500원 이하
- 2025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127,500원 이하, 지역가입자 57,000원 이하
건강보험 가입자
✔ 건강보험 가입자 중 2021년 6월 30일까지 국가암검진을 수검 후 , 1차 검진일로부터 만 2년 이내에 5대 암 진단을 받은 암환자
✔ 지원 대상 : 2021년 6월 30일까지 국가암검진을 받고 수검일로부터 만 2년 이내에 5대 암 진단을 받은 암환자 중 해당연도 1월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한 경우
✔ 지원 금액 : 급여 본인 일부부담금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
✔ 지원 기간 : 개시연도부터 최대 3년간 지원(매년 건강보험료 기준 충족할 경우)
- 2024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125,000원 이하, 지역가입자 67,500원 이하
- 2025년 1월 건강보험료 기준 : 직장가입자 127,500원 이하, 지역가입자 57,000원 이하
✔ 지원 범위
- 암 진단 과정에서 소요된 검사(진단) 관련 의료비
- 암 진단일(최종진단) 이후의 암 치료비
- 암 치료로 인한 합병증 관련 의료비
- 전이된 암, 재발암 치료비
- 의료비 관련 약제비
신청 방법 (2025년 기준)
✔ 신청처
-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접수
- 본인이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나, 대리 신청 가능
→ 단, 위임장 및 동의서 필수 제출
✔ 준비서류
- 암 치료비 등록 신청서, 지원신청서 각 1부
- 진단서 (최종진단, 상병코드, 진단일자 기재) 1부
- 가족관계등록부( 필요시 또는 사망 시)
- 통장계좌 사본 (환자명의)
- 대리인 방문 시 위임장
✔ 유의사항
- 암 진단일, 소득 수준, 재산 기준 충족 여부 등 사전에 확인
- 신청은 진단 이후 빠를수록 유리
신청절차
- 보건소에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접수
- 시군구 및 읍면동 사무소 등에서 조사 및 심사를 진행
- 대상자 확정 : 보건소에서 지원금 지급을 위한 대상자를 결정
- 서비스 지원 : 암 지원금 지급
- 사후관리 : 보건소에서 지원금 결정 이후 신청자의 상황을 관리합니다.
마무리
최근 5년(2018~2022)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암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72.9%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 암 조기검진과 더불어, 정부의 의료비 지원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특히 저소득층, 소아암 가정은 치료를 포기하지 않도록 국가에서 실질적 비용을 책임지는 시스템을 운영 중입니다.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여러분 혹은 가족 중에 암 진단을 받은 분이 계시다면, 이 제도를 꼭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치료비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는 것만으로도 회복의 가능성은 훨씬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지금 바로 신청하러 가기 [관할 보건소찾기]
👉 내가 받을 수 있는 암환자 복지 혜택 전체 보기 [클릭]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파주시 초등학교 입학 축하금 10만원 신청방법 (0) | 2025.04.01 |
---|---|
탄소중립실천 포인트로 현금 17만원 받는 방법 (0) | 2025.03.24 |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기간과 신청방법 (0) | 2025.03.21 |
2025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차종별 지원 금액 (0) | 2025.03.13 |
2025년 순창군 대학 진학 축하금 200만원 신청방법 (0) | 2025.03.11 |